안녕하세요~ 유뿡뿡입니다!
오늘도 회계랑 경제 단어를 풀어서 조금 더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려 합니다!
1. [개요]
[당기순이익, 영업이익, 매출총이익] 주식하시면 정말 많이 보게 되는데 정확히 어떻게 의미가 다른지 알려드릴 거예요
먼저 단어를 조각내서 이익 사전에 검색하면
"일정 기간의 총수입에서 그것을 위하여 들인 비용을 뺀 차액"이라고 설명해요
그 말은 즉 총 벌어들인 수익에서 들어간 모든 비용을 뺀 것이 이익
※ 이익 = 수익 - 비용
이익을 여러 가지로 나누어서 조금 더 자세히 관리하기 위해서 용어를 구분했을 뿐, 기본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2. [이익의 종류]
1) 당기순이익(손실)
2) 영업이익(손실)
3) 매출총이익(손실)
1) 당기순이익 (손실)
먼저 말부터 나누어서 설명드릴게요
- 당기 : 올해 또는 당해연도, 해당연도 등으로 대신 표현할 수 있어요.
- 순 : 순수하다, 불순물 빼고 순수 등.
- 이익 : 수익 - 비용
※ 당기순이익 = 해당 연도에 모든 수익과 모든 비용을 뺀 순수하게 남은 이익!
그래서 당기 순이익은 뭘 의미하는데?
- 당기 순이익은 주주에게 배당하기 위한 기준 금액이고 그걸 한 주식당으로 계산한 것이 주당순이익이라고 한다.
- 회사가 얼마나 팔아서 얼마 투자해서 최종 이익을 만들었는지 나타내는 것.
- 결과에 가까운 이익
하지만 사람들은 영업이익을 더 많이 보지요.. 이유를 볼게요 ^^
2) 영업이익(손실)
영업 : 기업의 주된 영업활동에 의해 발생된 이익이라고 나오는데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주된"
ex) 자동차 파는 회사에서 파는 아이스크림은 아이스크림이 주된 판매 물품일까?
아닐 거라고 다들 이해할 거라 믿습니다. ^^
※ 주된 영업활동 : 즉 자동차 파는 회사에서 순수 원래 팔던 것, 또는 항상 판매해 왔던 것, (사업자등록증에 명시된 것)
등을 나타냅니다 ^^
영업이익은 결국 이익에서 비용을 뺀 건데, 불필요한 이익이랑 비용을 제외한 이익을 말한다.
- 돈 빌려주고 이자수익 발생 (대부업이세요?... )
- 갑자기 은행에서 경기 나빠졌다고 이자율 3%였는데 10%로 변경되어 버렸다....
위 같은 경우는 내가 일을 잘하든 못하든 상관없이 변동이 생기는 이익과 비용을 제외하는 것이 영업이익이다
사람들이 왜 영업이익을 많이 볼까?
1) 영업이익이 높은데 당기순이익이 낮은 경우는 외부적으로 문제가 있을 확률이 높다.
- 회사는 잘했는데... 변수가 생겼다?라고 해석도 가능하다.
2) 예를 들어 자회사를 많이 가지고 있는 모기업은 영업이익이 낮은데 당기순이익이 더럽게 높다.
3) 2) 같은 경우를 잘 이해한다면 이 회사의 경우 자회사에 의존하는지 그런 정보도 알 수 있다.
단순히 영업이익은 영업과 무관한 이익과 비용을 제외하지만
당기순이익은 무관한 이익과 비용을 포함한다.
3) 매출총이익
- 글이 길어져서 전에 글 위치를 링크한다.
매출액, 매출원가, 매출총이익
[쉬운 회계 경제 단어] 매출액이란? 매출원가란? 매출총이익란?
안녕하세요~ 유뿡뿡입니다! 오늘도 회계랑 경제 단어를 풀어서 조금더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려합니다! [매출액] 어디서나 정말 많이 쓰는 단어죠 하지만 매출액이 정확히 무엇을 모르는 사람들
yobb.tistory.com
여러분들에게 도움 되는 글이길 바라며 ~! ㅎ
'회계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출의 상환 종류 / 대출 상환 조건 / 대출 이자 계산하는 방법. (원리금 균등상환, 원금 균등상환, 만기일시상환) (0) | 2023.11.0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