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적인 정보 공유 블로그

회계 · 경제/재무회계

2-1 재무회계 - 기본 가정 및 질적 특성

유뿡뿡 2024. 1. 16. 23:17
반응형

 


[목차]

1. 재무회계 기본 가정 및 질적 특성

 

1) 기본 가정

 

2) 질적 특성

(1) 근본적 질적특성

(2) 보강적 질적특성

 


1.  재무회계 기본가정 및 질적 특성

 


1) 기본 가정

● 기본 가정은 회계이론의 전재의 기초가 되는 개념체계

 

[ 계속 기업 가정 ] 유일한 기본 가정으로 둔다.

 

● 재무제표는 일반적으로 기업이 계속 운영하며 폐업을 전제로 운영하는 것이 아닌 미래에 계속 영업을 한다는 가정하에 판단한다.

 

청산을 하거나 거래를 중단하려는 의도가 없다고 가정한다.

 

  위와 같이 청산 또는 거래 중단의 의도가 있을 경우 기존의 재무제표 기준이 아닌 다른 기준에 의해 작성되어야 한다.  또한 청산 중인 회사의 경우가 적용한 회계 기준과 재무제표는 주석에 추가적으로 필수 기재하여야 한다.


2) 재무회계의 질적 특성

●  재무정보가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가 되기 위한 속성을 말한다.

 

● 질적 특성은 두 가지로 [ 근본적 질적 특성 ] , [ 보강적 질적 특성] 이 있다.

 

● [요약 표]

구분 설명
근본적 질적 특성 목적 적합성 정보이용자가 의사결정에 차이가 나도록 가능하다. 예측 가치와 확인가치를 동일시하며, 중요성원칙에 따라 정보 누락 또는 불분명 기재 방지
표현 충실성 서술이 완전하고 중립적이며, 오류가 없도록 기재
보강적 질적 특성 비교 가능성 회계정보가 항목 간 차이를 발생해야한다.
동종 기업간,  동종 기간간 비교 가능해야한다.
검증 가능성 검증이 가능한 정보를 기재
적시성 회계정보를 재때 이용할수 있도록 기재
이해 가능성 정보이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함.

 

(1) 근본적 질적 특성

 

  ● 목적 적합성 : 정보이용자의 의사결정이 달라지도록 작성이 가능하다. 같은 정보를 보더라도 차이가 없도록 작성한다.

   - 예측가치와 확인가치 : 재무정보에 예측가치와 확인가치가 없다면 의사결정에 차이가 나도록 재무제표 작성이 가능하다. 정보가 미래 결과를 예측하기 위해 절차와 투입요소 사용될 수 있어야 예측가치를 가진다. 재무정보가 과거 평가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해서 변경 및 확인을 한다면 확인 가치를 가진다.

   - 중요성 : 정보를 누락하거나 잘못 기재해서 불분명하게 작성한다면, 의사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정말 미미한 것을 제외하고 관련된 항목 또는 성격 들은 기본 근거에 의해 작성되어야 한다. 

 

  ● 표현 충실성 : 완벽한 표현 충실설을 위해 서술은 완전하고, 중립적이며, 오류 없도록 작성해야 한다.  재무제표에 서술되는 재무정보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중립적 서술을 해야 하며, 예시로 책을 볼 경우 모든 페이지를 다 적어도 각자 느낀 점이나 인상 깊은 점은 다르다. 가능한 모든 정보를 충실히 기재한 후 정보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추출 및 이용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2) 보강적 질적 특성

  ● 비교가능성 : 항목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식별하고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질적 특성이다. 특정 기업에 정보는 유사 기업의 재무정보와 비교될 수 있도록 작성을 요한다. 그 비교 가능한 정보는 단일 정보에 비해 훨씬 많은 정보를 가진다. 과거 처리 계정과목에 대해 일관적으로 작성을 해야 하며, 일괄적으로 작성함으로써 과거와 비교 및 타 기업과의 비교가능성에 더욱 가까워진다.  무조건 가능한 것은 아님으로 비교 가능하도록 작성을 요구받는다.

 

  ● 검증가능성 : 경제적 현상을 충실히 표현하는지 확인하는데 도움이 된다. 검증가능성은 합리적인 판단과 근거가 있고 다른 관찰자가 이해가능하고, 합의에 이를 수 있는 정도의 검증 가능성이 필요하다. 

 

  ● 적시성 : 어떤 시기에 적합한 성질로 의사결정자가 재무정보를 제때 이용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

 

  ● 이해가능성 : 정보이용자가 정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간결하고 명확하게 분류해야 한다. 하지만 일부 재무정보는 복잡하여 이해하기 어렵다. 때로는 복잡한 현상으로 이해 전문가도 다른 자문가의 도움을 받는 경우가 자주 있다.

 

 

 

 


다음 2-2 재무회계 - 재무제표 기본요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