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동비율이란?]
1년 이내로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과 1년 이내로 갚을 부채를 나타낸다.
∴ 즉 회사가 1년 이내 갚아야 할 빚 상환 능력을 측정하는 분석기법이다.
2. [유동비율 의미와 구성요소 - 유동자산, 유동부채]
유동비율을 이해하기 앞서 유동자산과 유동부채를 알아야 한다.
재무상태표의 구성요소인 자산, 부채, 자본 중
자산의 유동자산 - 1년 이내 권리로 현금화가 가능한 금액
부채의 유동부채 - 1년 이내 상환 및 의무를 해야 할 금액
∴ 즉 1년 이내 대출이나 줘야 할 것과 1년 이내 현금화 가능한 것들의 비율을 구하기 위한 요소이다.
※ 회계 IFRS 기준으로 단기, 장기 / 유동, 비유동 구분 기준은 1년이다.
3. [유동비율 계산식]
2022년 12월 31일 삼성전자 유동비율로 예시 들어보겠다.
[계산식]
유동자산 ÷ 유동부채 = 유동비율
[대입 계산 결과]
유동자산 : 59,062,658 백만 원
유동부채 : 46,086,047 백만 원
유동비율 : 59,062,658 ÷ 46,086,047 = 1.2816
유동비율 : 1.2816 = 128.16%
[삼성전자 재무상태표 참조]
● 파란 부분은 위 유동자산, 유동부채의 구성요소.
4. [유동비율의 상세 의미]
● 유동비율의 건전성은 200% 이상이다.
● 유동비율이 매년 높게 평가된다는 것은 안정성이 어느 정도 보장된 회사이다.
● 유동비율이 100% 미만의 경우 올해 부채의무를 다하기 어려운 경우이다.
● 유동비율이 과도하게 높은 건 좋은 의미도, 나쁜 의미도 아니다. 위험도가 없을 뿐, 다른 분석 및 사유확인이 필요하다
● 과도하게 많은 경우 위험대비 또는 대량 투자, M&A 할 수 있다는 정보가 되기도 한다.
※ 불필요하게 유동자산을 많이 들고 있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200% 이상일 경우엔 안전하다고 판단하고 과도하게 들고 있는 경우는 다른 목적이 있을 수 있다.
[삼성전자 3년 치 유동자산, 부채 비율]
● 위 자료의 삼성전자 경우 유동비율로만 보았을 때 좋은 편은 아니다.
매년 줄어들고 있어 안정성이 줄어들고 있다.
하지만, 전체적인 부채가 규모에 비해 굉장히 적은 편에 속하고, 부채비율을 구했을 때 부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되어 아직 건전하고 안전한 기업으로 판단된다.
[부채비율이 궁금하다면?]
[재무분석] 부채비율 의미 및 계산법 (적정 부채비율 / 부채비율 계산 / 삼성전자 부채비율)
안녕하세요 오늘은 재무분석의 기본인 부채비율을 말씀드리려고 해요 ^^ 따라오시죠. 부채가 뭔지 모르겠다? 아래 링크 타주세요 ^^ https://yobb.tistory.com/48 [쉬운 회계 단어] 부채란? 오늘은 부채가
yobb.tistory.com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안녕~~
'회계 · 경제 > 재무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분석]이자보상비율 의미 및 계산법 (적정 비율 / 삼성전자 이자보상비율) (0) | 2024.02.16 |
---|---|
[재무분석] 부채비율 의미 및 계산법 (적정 부채비율 / 부채비율 계산 / 삼성전자 부채비율) (0) | 2023.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