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적인 정보 공유 블로그

회계 · 경제/쉬운회계경제

[용어 정리] 제품? 상품? 재공품? 이란?( 제품 상품 차이 ) (반제품, 재공품, 소모품, 미착품, 원재료, 부재료, 원부재료, 원자재,

유뿡뿡 2023. 12. 6. 18:17
반응형

 
 
 

 
오늘은 제품? 상품? 차이와 비슷한 언어들을 정리해 보려고 해요 ^^
 
많은 분들이 제품, 상품을 혼용해서 사용하지요. 
 
비슷한 의미와 혼용해서 사용하는 언어, 관련 단어 정리해 볼게요 ^^
 


 

1. [단어 의미]

 1) 상품    
 2) 제품    
 3) 반제품   
 4) 재공품  
 5) 소모품
 6) 미착품
 7) 원재료
 8)  부재료
 9)  원부재료   
 10)  원자재
 11)  부자재
 12)  원부자재
 
 
 


 

1) 상품 ★ ★ ★

 ● 완성품을 팔기 위해 사 온 것. 
 ● 예시로 문방구에서 팽이 샀는데 문방구에서는 팽이는 만든 것이 아니다.
 ● 다품종 판매하는 곳이 대부분 상품으로 들어온다.
 ● 회계에서 제조원가보고서에 들어가지 않는다.
 

 

2) 제품 ★ ★ ★

 ● 판매를 목적으로 제작된 완성품.
 ● 제조공정을 거쳐 완성품이 나오는 것.
 ● 재공품이 완성되어 나오는 것이 제품.
 


3) 반제품 ★

 ● 만드는 과정 중 일부분 완성되어 부분 판매가능한 품목 (중간 완성)
 ● 자체적으로 판단해서 제품이나 재공품으로 구분 가능하지만, 판매될 때가 있고, 규모가 작을 때 쓴다.
 ● 고정적으로 판매하는 것이라면, 제품으로 분류해도 무관.
 ● 원칙적으로 재공품이다. 
 


 

ex) 간장 공장

간장 판매업체에서 10년 묵힌 간장을 판매한다. 5년 차에 해산물을 넣어 맛을 첨가한다.
5년 차에 해산물을 첨가하지 않고 임시적으로 판매 진행했다. 
 
● 10년 차 간장 + 해산물 맛 첨가 완료 = 제품
●  묵히기 진행부터 ~ 10년 차 간장 = 재공품
●  해산물, 간장 = 원재료 
 
5년 차 간장 판매 시? = 반제품 처리 후 제품매출로 잡는다. 
 
만약 5년 차 간장을 사 와서 판매한다면 상품. 
 
5년 차 간장을 사 와서 해산물과 같이 묵힌다면 원재료이다.
 


 

 

4) 재공품 ★ ★ ★ ★

 ● 만드는 중인 모든 제품들. (공정 투입되어 진행 중인 것들)
 ● 만드는 과정 중인 것들 포함.
 ● 재공품에는 제조 인건비(현장인원) + 제조 재료 + 제조 간접비(기계 사용, 공장 부지, 공장 인력 복지 등 포함)
 ● 회계 제조원가명세서에 포함되는 주요 내용들이다.
 


5) 소모품 ★ ★

 ●말 그대로 소모성이며, 일반적인 휴지, 연필, 팬, 종이 등이 있다.
 ● 제조에 직접적인 소모품은 부재료가 되기도 한다. (구리스, WD 등은 소모품 ) (회사 CASE BY CASE)
 ● 크게 2가지로 나뉜다.  재공품(제조간접비)에 들어갈 소모품일반 소모품으로 나뉜다.
 ● 제조원가명세서 (재공품)에 포함될 소모품의 경우 제품가격에 포함되어 산정된다.
 


6) 미착품 ★

 ●수입 때 사용하는 것 임시 품명이다.
 ●수입할 때 배를 타든, 비행기를 타든 물건 소유권이 판매자에서 구매자로 이전되었을 때 발생한다.
 ● 소유권 이전 시점은 Incoterms(인코텀즈) 기준 중 하나(FOB, CIF 등)를 협의해서 따른다.
 ● 원재료나, 상품을 구매하고, 아직 우리 회사 창고에 들어오진 않았지만 소유권은 우리가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임시품명으로 쓴다.
 ● 부대 비용 통관비용, 관세, 운반비 등 미착품으로 포함시켜 나중에 원재료로 상계처리한다.
 


7) 원재료 ★ ★ ★ ★ ★

 ● 원재료는 말 그대로 주로 사용된 재료를 뜻한다. 
 ● 원재료를 산 후 공정 투입 및 제조 시작할 때 재공품이 된다.
 ● 부품 구매 및 원료 구입은 원재료이다.
 


8) 부재료 ★ 

 ● 부수적으로 사용하는 재료의 뜻이다.
 ● 비중이 낮거나, 관리하기 힘들 정도로 사용 빈도가 낮은 경우 사용한다.
 ● 예시로 포장 외관에 프린터 찍는 잉크의 경우 부재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9) 원부재료 ★

 ● 원재료 +부재료 합쳐서 지칭하는 단어.
 


10) 원자재

 ● 원재료 같은 의미로 사용.
 


11) 부자재

 ● 부재료 같은 의미로 사용.
 


12) 원부자재

 ● 원부재료와 같은 의미로 사용.
 
 


 

2. [요약정리]

 1) 상품 - 완성품 사 온 것.
 2) 제품 - 다 만든 완성품
 3) 반제품 - 만드는 과정 중 중간 판매가 가능하도록 중간 완성된 품목
 4) 재공품 - 만드는 중
 5) 소모품 - 일반 소모하는 휴지 등. (생산과 별개)
 6) 미착품 - 수입 때 사용하는 것 임시 품명
 7) 원재료 - 제품 만들기 위한 기본재료
 8)  부재료 - 제품 만들기 위한 부수재료
 9)  원부재료 - 제품 만들기 위한 재료들
 10)  원자재 - 원재료를 말함.
 11)  부자재 - 부재료를 말함.
 12)  원부자재 - 원부재료 같은 의미.
 
 
 


 

3. [제품 및 상품 이동 과정]


● 제품의 이동 및 생성 과정. 

1) 구매 (인보이스 및 발주)
2) 운송 (미착품, 원재료) 
3) 창고(원재료)
4) 공장 투입 _ 인력 투입 및 부자재 투입 포함 (재공품)
5) 완성품 창고이동 (제품) 
6) 판매 진행 및 발송 (제품매출)
 
 
 


● 상품의 이동 및 생성 과정. 

1) 구매 (인보이스 및 발주)
2) 운송 (국내 - 상품 / 수입 - 미착품)
3) 창고 (상품)
4) 판매 진행 및 발송 (상품매출)
 
 


 

4. [결론 및 정리]


 ● 구매 및 생산 전 

 - 원재료, 부재료, 미착품, 소모품 등
 
※ 원재료를 구매 후 공정 투입 전까지 원재료 및 부재료로 처리되어 있는다.
수입의 경우 미착품으로 먼저 인식 후 사내 창고 이관하고 원재료로 변경한다.
 

 

 

 ●  생산 중/ 공정 투입

 - 재공품, 반제품 등
 
원재료, 부재료, 인건비, 제조간접비 등 재공품으로 인식한다.
※ 인식된 재공품 중 중간 판매가 가능하고, 판매목적이 확정되었을 때 반제품으로 판매한다.
 

 

 

 ●  생산 완료 및 판매 가능

 - 상품, 제품, 반제품
 
※ 구매한 것을 판매할 때는 상품
※ 제조완성한 것을 판매할 때 제품
※ 제조 중 완성하지 않고 중간 부품으로 판매할 때 반제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