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회계가 뭔지 왜 중요한지 편하게 풀어보려고 합니다.
천천히 따라오시죠.
1. [회계란?]
= 이해관계를 가진 사람들에게 합리적인 경제적 의사결정을 하는 데 유용한 재무적 정보(financial information)를 제공
말이 어렵다.
조금 더 의미와 문장을 풀어보자.
2. [풀이 의미 _ 회계란?]
돈 장부를 보는 사람(이해관계자)들에게 = ( 이해관계를 가진 사람들에게) 회계라는 돈 정리 장부를 보여주고, 회계 장부가 보여준 정보로 계획을 정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 = ( 합리적인 경제적 의사결정을 하는 데 유용한 재무적 정보 제공.)
회계? = 돈으로 표기된 정보 제공?? 하는 거야?
∴ 회계는 돈으로 표기된 장부를 보여주기(제출하기) 위해 만들어진 장부 작성 및 정리 기준이다.
장부정리 기준은 국제회계기준 IFRS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기준에 따른다.
그 기준에 맞추어서 기업들은 장부를 정리하다 보니, 서로 같은 기준의 정보를 비교해서 볼 수 있다.
3. [ 회계역할]
회계라는 지식은 기본적으로 4가지로 분류된다.● 기록
● 분류
● 요약
● 해석
● 기록
- 돈의 흐름을 계속적으로 기록함으로써 과거 분석 및 미래 예측에 도움이 된다.
- 예를 들어 과거의 언제 돈을 줬으나, 안 받았다고 한다면, 기록이 없을 때 몰라서 다시 준다.
- 과거 기록이 누적되어 있고, 조회할 수 있다는 점은 앞으로 어떻게 할지에 중요한 요소이다.
● 분류
- 단순 이익과 비용만을 나타낸다면, 자세한 분석이 불가능하다. 세세하게 나눠 분류해서 기록해야 한다.
- 예를 들어 사업을 한다면 많은 비용이 든다. 임대료, 원재료, 세금, 전기세, 직원 월급 등 그중에 사업장 이전해서 사무실 변경예정이다라고 할 때 임대료, 전기세, 보증금 등의 정보만 따로 추출하려고 할 때, 분류가 잘못되어 있거나, 1가지로 뭉쳐둘 경우 찾기엔 사막에서 바늘 찾는 꼴이다.
● 요약
- 세세하게 나누어지기만 한다면, 보기에 복잡하고 어렵다.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로 나누어져 있다.
- 위의 분류처럼 분류만 세세하고 대분류, 중분류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없다.
- 비슷한 비용에 대해서 합쳐서 한 가지로 볼 필요가 있다. 직원 커피값이랑 과자값을 구별해서 의미가 있는가?...
- 그렇기 때문에 묶어서 한눈에 표기할 필요가 있다.
● 해석
- 상세하면서 요약된 정보를 해석하는 지식.
- 가장 어려운 부분이면서, 진입 장벽이 낮은 부분이다.
- 같은 공평한 정보를 주지만, 그 정보에서 조합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많은 정보가 달라진다.
(위 문장의 예시로 들자면 알파뱃 구성(A, B, C, D, E …)들로 구성들을 합쳐서 단어조합, 문장조합 같은 느낌이다.)
기록, 분류, 요약은 해석을 위해 기준일 뿐이다.
※ 기록, 분류, 요약은 누구나 같은 기준으로 알아보고 해석할 수 있게 IFRS 기준을 따른다.
4. [ 회계목적]
회계의 목적은 "정보이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가 주목적이고 목적에 따라 회계가 나뉜다.
누구에게 정보를 제공하냐에 따라 3가지 회계로 분류 가능하다.
[목적 3가지]
● 재무회계
● 관리회계
● 세무회계
● 재무회계 (기준 회계)
정보이용자 : 투자자, 일반인, 직장인, 정부기관, 기업평가, 은행 등.
- 표준 작성 기준으로 일반인, 직장인이 접하는 주 장부이다.
- 표준 작성 방식 및 방법이 정해져 있고(IFRS 기준) 수치로 타업체와 비교 가능한 부분이다.
- 재무제표, 손익계산서, 제조원가명세서, 포괄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작성이 재무회계에 속한다.
● 관리회계
정보이용자 : 경영자, 내부 관련 담당자, 주주 등
- 내부 관리자 및 주주에게 보여주기 위해 고정 양식 없이 정보를 제공한다.
- 재무회계 기준으로 작성된 것을 응용한다 생각하면 된다.
-[제조원가명세서]를 만들기 위한 외부로 알려지지 않는 세세한 [원가 회계]가 대표적인 관리회계이다.
● 세무회계
정보이용자 : 국세청 및 지방청 등
- 세금을 내기 위해 재무회계에서 세무조정을 거쳐 세금을 내기 위한 기준으로 재작성한 회계이다.
- 재무회계 기준으로 작성된 자료 중 세금을 조정한다.
간단한 예시부터 종류 추가 설명은 아래 링크 부탁드려요 ^^
[쉬운 회계 경제 단어] 회계의 종류? (재무회계, 관리회계, 세무회계 등)
안녕하세요~ 유뿡뿡이에요! 오늘 여러분에게 알려드릴 내용은!! 회계가 뭔지 가장 쉽게 말씀드리려고 해요! 회계는 돈의 흐름을 정리 기록이 중요 키워드예요 Q. 그래서 내가 소속된 회사의 돈
yobb.tistory.com
'회계 · 경제 > 쉬운회계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어 정리] 제품? 상품? 재공품? 이란?( 제품 상품 차이 ) (반제품, 재공품, 소모품, 미착품, 원재료, 부재료, 원부재료, 원자재, (1) | 2023.12.06 |
---|---|
[쉬운 회계 단어] 분식회계란? (회계 사기, 회계 거짓말, 거짓 회계 등) (1) | 2023.11.29 |
기업 재무제표 조회하는 방법 - 전자공시시스템(다트-dart) (0) | 2023.11.23 |
[쉬운 회계 경제 단어] 발생주의 vs 현금주의 (vs 실현주의) (1) | 2023.11.20 |
[쉬운 회계 단어] 부채란? (회계상 부채 정의) (1) | 2023.11.20 |